세포와 소기관(세포와 진화, 세포의 연구방법)
1. 세포와 진화
1) 생물의 종류
1-1 원핵생물
진정세균
-소기관들이 없으며, DNA도 세포질에 녹아 있음.
종족영양: 대장균등 대다수의 세균들
독립영양: 녹세균, 홍세균, 남세균
고세균
-소기관들이 없으며, DNA도 세포질에 녹아 있음
호염성세균: 고농도의 염 지대에 서식
호열성세균: 열수 분출공, 온천 등에 서식
메탄생성균: 호수나 늪의 침전물 속, 소나 양의 위, 개나 인간의 대장 등의 혐기성 환경에 서식
1-2 진핵생물
-다양한 세포 소기관을 지니며, DNA도 핵막 속에 존재
원생생물
-진핵생물 중 균류, 식물, 동물로 분류되지 않는 생물들
-아메바(단세포 진핵생물), 조류(광합성, 세포들이 조직화 되지 않음)등 다양함.
균류
-종속 영양 키틴질의 세포벽, 균사 구조 지님
-곰팡이, 무좀, 효모, 버섯 등
식물
-조직화된 세포들로 이루어진 다세포의 광 독립 영양 생물들
동물
-조직화된 세포들로 이루어진 다세포의 화학 종속 영양 생물들
광 독립 영양 생물: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,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각종 유기 분자들을 합성하는 생물.
화학 종속 영양 생물: 에너지와 탄소원으로 유기화합물을 이용하는 생물.
*에너지와 생체 단위체
에너지: ATP - 화학 영양(전자 전달계 이용), 광 영양(명반응 이용)
생체 단위체: 탄소 - 독립영양(CO2를 이용해 캘빈 회로 진행), 종속 영양(간단한 유기물로 중합체 합성)
2) 진화의 과정
1-1 원핵생물의 탄생
리보자임
-효소처럼 촉매 기능을 수행하는 RNA
-생체 내의 일부 반응들(리보솜의 rRNA, 인트론의 스플라이싱 기작)은 현재 생물체에도 남아 있음.
1-2 진핵생물의 탄생
세포 소기관 발달
-진정세균 일부가 극한 환경에 적응해 변이를 거쳐 현재의 고세균이 됨
-고세균 중 일부가 다시 진화해 복잡한 소기관들을 지닌 진핵세포로 발달함
>세포 크기 한계의 극복: 복잡하게 접힌 세포막을 형성해 같은 부피에서도 넓은 표면적을 가져서, 세포가 커져도 주변 환경과 물질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됨.
>세포 골격 발달: 커진 세포를 지지하도록 뼈대 역할을 하고, 세포 내 물질들이 골격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됨.
>막성 세포 소기관 탄생: 유전 물질이 핵막 속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, 세포 내 여러 반응들이 막성 소기관들로 서로 분리되고 국부적 물질 농도가 유지돼서 세포가 더 복잡한 구조로 진화할 수 있게 됨.
세포 크기의 한계
-세포는 주변 환경과 다양한 물질들을 교환하기 위해 주변과 접촉하는 충분한 표면적을 지녀야 함.
-세포는 너무 커지지 않도록 분열해서 생명 활동에 적합한 작은 크기를 유지함.
내부 공생설
-일부 원핵세포가 진핵세포로 들어와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로 공생 관계를 이룸.
호기성 원핵세포(진핵세포 섭식) > 미토콘드리아: 동물세포
광합성 원랙세포(진핵세포 섭식)>엽록체: 식물세포
다세포 진핵생물의 탄생
-단세포로 사는 것보다 세포들이 뭉쳐 살면, 극한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내부의 세포들은 보호 받을 수 있어서 세포 군집이 지닌 유전 물질의 보존에 유리함.
-세포 군집 내에서 각 세포들이 특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분화됨
육상 생물의 출현
-광합성 생물들의 산소 방출로 오존층이 생김
-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 감소로 생물체들이 육상으로 진출함.
2. 세포의 연구 방법
1) 현미경
-눈으로 보기 힘든 작은 물체를 확대하는 장치
1-1 확대율
-현미경의 배율 = 접안렌즈 배율 X 대물렌즈 배율
배율> 상의 크기 커짐, 보이는 상의 개수 감소
배율: 물체의 실제 크기와 상의 크기의 비율
1-2 시료 준비 과정
샘플링 > 고정 > 탈수 > 투명화 > 경화 > 박편 제작 > 염색
고정: 세포의 구조를 보존하는 과정, 가열 또는 알코올이나 포름알데히드 등의 화학 물질 사용
탈수: 알코올 등을 처리해 시료에서 물을 최대한 제거함.
투명화: 유기 용매를 처리해서 지방 조직을 제거하고, 포매액 침투가 잘 일어나게 만듦.
경화: 파라핀,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시료를 딱딱하게 만듦.
박편 제작: 칼날로 얇은 박편 시료를 제작.
염색
염기성 염료: 메틸렌 블루, 아세트산카민, 헤마톡실린 등
산성 염료: 에오신 등
메틸렌 블루: 물에 녹아 진한 청색을 나타내는 염색약으로 동물세포의 핵을 염색할 때 주로 사용.
아세트산카민: 양이온의 붉은색을 띠는 염색약으로 핵을 염색하는데 사용함.
헤마톡실린: 헥산의 인산기나 조직의 음전하성 물질과 결합하면 파란색을 나타내는 염색약.
에오신: 붉은색의 산성염료로 특수연료의 착색제나 분석용 시약으로도 사용됨.
접안 마이크로미터를 접안렌즈 밑에 끼우고 대물 마이크로미터는 재물대 위에 올려 놓음.
고정된 배율에서 접안 마이크로미터와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겹치는 눈금을 확인함.
두 마이크로미터의 눈금이 겹치는 눈금수를 이용해 접안 마이크로미터 한 눈금의 길이값을 계산함.
대물 마이크로미터 대신 관찰하려는 시료를 재물대 위에 놓고 접안 마이크로미터와 겹치는 눈금수를 세어 시료의 길이를 계산함.
1-3 현미경의 종류
일반 광학 현미경
-가시광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료를 천연색으로 볼 수 있음.
-세포가 투명해서 각 소기관 관찰 시 염색약이 필요함(보통 염색하면 세포가 죽음)
-평면적 시료만 관찰 가능
광학 현미경: 표본에 빛을 비추어 그 표본을 통과한 빛이 대물렌즈에 의해 확대된 심상을 맺고 접안렌즈를 통해 재확대 된 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.
전자 현미경
-투과 전자 현미경
-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전자선이 시료를 통과해 이미지를 형성
-시료의 단면을 관찰
-주사 전자 현미경
전자선이 시료 표면과 부딕쳐 산란된 전자를 포획해 이미지를 생성함
시료의 표면을 스캐닝 함
2. 원심 분리법
-용액 속에 밀도차가 나는 물질들이 섞여 있을 때, 밀도가 높은 물질은 중력에 의해 서서히 바닥으로 가라앉고 밀도가 낮은 물질은 서서히 상층부로 이동하면서 분리가 일어남
> 위 성질을 이용해 중력 대신 원심력으로 물질 분리를 가속화하는 방법
'생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생명체의 구성 분자들(물, 유기 분자들) (1) | 2022.09.10 |
---|---|
식물학(현화 식물) (0) | 2022.09.02 |
식물학(식물의 기본구조,식물의 양분 수송, 식물의 호르몬) (0) | 2022.09.02 |
배설계(배설계의 기능과 종류, 인간의 배설기관) (0) | 2022.09.02 |
소화와 영양(소화와 흡수, 인간의 소화계) (0) | 2022.09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