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설계(배설계의 기능과 종류, 인간의 배설기관)
1. 배설계의 기능과 종류
1)배설계의 기능
-수분, 염류의 배설을 조절해서 삼투압, Ph, 이온 농도 등의 항상성을 유지함
-질소 노폐물을 배설함
삼투압 조절
삼투 순응자
-체내 삼투압을 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맞춤
-대부분의 해양 무척추동물들과 연골어류
연골어류: 골격이 연골로 이루어진 원시적인 어류, 상어류와 가오리류가 있음.
삼투조절자
-삼투압을 주변 환경 삼투압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함
-대부분의 해양 척추동물들과 담수 어류들
저삼투성 조절
-세포에 유기물을 축적하고, Na+, Cl- 이 유입 되면 능동적으로 배출함
-해양 척추 동물들
고삼투성 조절
-체액의 염분 소실을 막기 위해 능동수송으로 이온을 유지하고, 과잉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묽은 농도의 오줌을 대량 배출함.
-담수동물들
육상동물의 조절
-건조 환경에서 수분 증발을 막는 외피 구조를 지님
-섭취한 물과 염을 이용해서 일정한 용질 농도를 유지하도록 신장에서 배설을 조절함
노폐물 배설
영양소의 대사
-탄수화물, 지방: 탄소, 수소, 산소
>이산화탄소, 물
-단백질, 헥산: 탄소, 수소 , 산소, 질소
>이산화탄소, 물, 암모니아
노폐물의 배설
-생성된 노폐물은 혈액을 통해 여러 기관으로 이동해서 몸 밖으로 배출됨
이산화탄소: 주로 폐에서 호기를 통해 배출됨
물: 호흡과 소변, 땀 등으로 배출됨
암모니아: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해 동물에 따라 암모니아, 요소, 요산의 형태로 바꿔 배출됨.
암모니아: 독성이 있어서 배설에 많은 물이 필요함. 경골어류, 수생 무척추 동물, 올챙이, 장어
요소: 역동성 물질로 배설시 소량의 물이 필요함. 포유류, 양서류, 연골어류(상어, 가오리)
요산: 무독성 물질로 배설 시 물이 필요하지 않음. 곤충, 파충류, 조류
2) 배설계의 종류
원신관
-불꽃세포가 섬모 운동을 해서 여분의 물이 세관을 거쳐 배설공 쪽으로 흘러 배출됨
-편형동물, 윤형동물
신관
-혈액이 체강으로 확산된 후 섬모에 싸인 신구를 통해서 후신관으로 들어간 뒤 체외로 열린 구멍을 통해 배출됨
-환형동물: 고리모양의 체절 구조를 가진 무척추동물군의 총칭. 토양과 퇴적물의 성분을 비옥하게 하는 역할을 함.
체강액이 신구를 통해 후신관으로 들어감.
후신관의 세관세포가 여과액의 재흡수, 분비를 함
외신문을 통해 오줌이 배출됨.
말피기관: 절지동물의 배설 기관으로 1669년 말피기가 누에에서 처음 발견하였음. 척추동물의 배설기관인 신장의 세뇨관과 동일한 기능을 함.
-절지동물은 개방 순환계를 가지고 있어서 혈압을 이용해서 여과를 할 수 없음.
배설물을 능동수송해서 말피기관으로 배출한 후, 염과 물을 재흡수하고 남은 요산을 반고체 상태로 배설함.
신장
전신: 원구류(사구체)
중신: 어류, 양서류(사구체 + 보우만 주머니)
후신: 파충류, 조류, 포유류(사구체 + 보우만 주머니 + 세뇨관)
원구류: 쌍을 이루는 지느러미가 없는 척추동물, 칠성장 어목 및 먹장어목이 여기에 속함.
2. 인간의 배설기관
-체액조절
-체액의 산- 염기 균형 유지
-요소 및 이물질들의 배출
-비타민 D 활성화
-EPO와 레닌 분비
EPO: 신장에서 생산되는 당단백 호르몬으로 적혈구의 분화를 촉진함.
레닌: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으로 혈장 단백질인 안지오텐시노겐을 절단하여 안지오텐신I을 생성함. 신장의 사구체 옆장치가 레닌을 과립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가 여러 자극에 의해 혈중으로 방출함.
1)신장의 구조
-복강의 뒤쪽에 위치한 한 쌍의 장기
-신동맥, 신정맥이 중앙의 신우 쪽으로 각각 혈액을 들여오고 내보냄
신동맥 > 수입세동맥 > 사구체 > 수출세동맥 > 세뇨관 주위 모세혈관 > 세정맥 > 신정맥
기본 단위
-네프론 : 구조적, 기능적 단위
사구체 + 보우만 주머니 + 세뇨관(피질, 수질에 존재)으로 구성됨
-말피기소체: 사구체와 보우만 주머니를 합친 부분
-신장 한 개당 약 백만 개의 네프론을 지님
보우만 주머니 > 근위세뇨관 > 헨리고리 > 원위세뇨관 > 집합관
신우와 수뇨관
-신우: 수질 안쪽의 오목한 부분, 네프론에서 생성된 오줌이 모이는 장소
수뇨관(요관): 오줌을 방광으로 수송하는 굵은 관.
여과 : 혈액에서 내강으로 이동
재흡수: 내강에서 혈액으로 이동
분비: 혈액에서 내강으로 이동
배설: 내강에서 외부 환경으로 배출
> 혈관과 네프론 사이에 여과, 재흡수, 분비의 세 가지 과정이 일어남.
2) 신장의 기능
여과 > 재흡수 > 분비
여과
-사구체를 지나가는 혈장의 약 20%가 세포사이 틈으로 여과됨
(혈장 내 물질 농도 = 여과액 농도)
물질크기
여과 X : 세포, 큰 단백질들
여과 O : 물, 포도당, 아미노산, 비타민, 무기염류, 요소 등
압력: 혈압이 높을수록 더 많이 여과됨
재흡수와 분비
재흡수
-인체에 필요한 성분들은 여과액이 세뇨관을 흐르는 동안 세뇨관 주위 모세혈관으로 재흡수 됨
포도당, 아미노산: 100% 재흡수
물: 99% 재흡수
무기염류: 필요량만큼 재흡수
요소: 일부 재흡수
분비
-세뇨관 주위 모세혈관을 흘러 가다가 불필요한 몇몇 물질들이 세뇨관으로 분비됨.
부위별 역할
하행지: 상행지에서 형성된 삼투 기울기를 이용해서 물 재흡수
상행지: 하행지에서 농축된 원뇨에서 Na+, Cl-을 촉진확산으로 재흡수
집합관: 바소프레신 작용 > 아쿠아포린 발현, 수질부의 농도 기울기를 따라 물 재흡수. 막단백질을 통해 요소 재흡수.
알도스테론: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나트륨과 칼륨 농도의 조절에 관여함.
반류 증폭계
-간질액이 신장의 수질부를 따라 300 > 1200mOsm/L로 농도 기울기가 증가함.
헨리고리의 두꺼운 상해지에서 Na+, Cl-만 재흡수
상행지에서 만든 삼투 기울기를 이용해서 하행지에서는 물을 재흡수 함.
두 과정이 계속 진행되면서 수질부의 기울기가 만들어짐
반류 증폭계: 능동수송을 통해 신장의 수질부를 따라 삼투 기울기를 형성하는 시스템.
'생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식물학(현화 식물) (0) | 2022.09.02 |
---|---|
식물학(식물의 기본구조,식물의 양분 수송, 식물의 호르몬) (0) | 2022.09.02 |
소화와 영양(소화와 흡수, 인간의 소화계) (0) | 2022.09.02 |
호흡계(호흡의 종류, 사람의 호흡계) (0) | 2022.09.01 |
면역계(면역계, 1차 방어벽, 내재면역 반응, 적응면역 반응) (0) | 2022.09.01 |